영국·유럽증시 사상 최고치…"금리인하 기대감"

입력 2024-05-10 10:50   수정 2024-05-10 10:54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영국 증시와 범유럽 대표 주가지수인 유로스톡스600지수가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5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나란히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유럽 지역이 먼저 미국보다 기준 금리 인하를 단행할 수 있다는 관측이 우세해지면서다. 유럽 내 다국적 대기업들이 호실적을 거두며 주가를 이끌었지만, 에너지 회사를 중심으로 뉴욕 증시 상장 이전 논의가 불거지면서 장기 성장에는 독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사상 최고가 기록한 영국·유럽 증시
영국 런던증시 대표 지수인 FTSE100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33% 오른 8381.35를 기록해 종가 기준으로 5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가 기록을 썼다. 이날 지수는 장중 8396.25까지 오르며 3거래일 연속 장중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유로스톡스600 지수는 이날 전일대비 0.53%오른 516.77로 거래를 마감하며 4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 대표지수인 닥스(DAX)도 전일대비 1.02% 오른 18,686.60, 프랑스의 CAC40지수도 0.69% 오른 8187.65를 기록하며 유로스톡스600지수 상승에 힘을 실었다.

영국 및 유럽 증시는 영국은행(BOE)이 이르면 올해 8월에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앤드루 베일리 BOE 총재는 기준금리를 5.25%로 동결한다고 발표하며 "금리를 인하하기 전에 인플레이션이 낮게 유지될 것이라는 더 많은 증거가 필요하지만, 상황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데에 낙관적"이라고 말했다.

유럽 국가들은 스위스와 스웨덴을 시작으로 금리 인하에 시동을 걸고 있는 추세다. 스위스가 지난 3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데에 이어 스웨덴도 지난 8일 4%였던 기준금리를 3.75%로 내렸다. 필립 레인 유럽중앙은행(ECB)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6일 스페인 매체 엘컨피덴셜과의 인터뷰에서 "6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졌다"라면서도 "4월 수치를 보고 금리 인하를 결정하겠다"며 신중한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미국보다 유럽이 먼저 금리 인하를 할 수 있다는 관측에 힘입어 유럽 ETF도 이날 일제히 최고가를 썼다고 폭스비즈니스는 전했다. 다우존스 마켓데이터에 따르면 아이셰어스 MSCI 유로존 ETF(EZU)는 이날 전일 대비 0.97% 오르며 2008년 6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6일 연속 상승세다. 해당 ETF의 상위 보유 종목으로는 세계 최대 명품업체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독일 소프트웨어 기업 SAP, 프랑스 에너지 기업 토탈에너지스 등이 있다.
유럽 에너지 기업 '뉴욕증시' 상장설에 투자 심리 꺾일까
유럽 증시가 사상 최고가를 쓸 수 있었던 배경에는 유럽 대기업들의 실적 호조가 있다. 로이토통신은 이날 금융정보업체 LSEG의 데이터를 인용해 이번 1분기에 유로스톡스600 기업 중 최소 61%가 시장 예상치를 초과하는 실적을 거뒀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유럽 최대 석유 회사인 쉘과 토탈에너지 등 에너지 대기업들이 뉴욕 증시 이전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유럽 증시가 장기적으로 성장 동력을 얻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들 기업들은 유럽 내 친환경 정책과 횡재세 도입으로 석유 생산량이 미국 경쟁사에 비해 줄어들 위기에 처했다고 전망해 상장 이전을 고려하게 됐다고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6일 보도했다. 파트리크 푸야네 토탈에너지 CEO는 이사회로부터 미국 상장을 검토하고 9월까지 보고해달라는 요청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토탈에너지의 상장 이전 계획에 대해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 재무부 장관은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토탈 에너지스의 움직임에 맞서 싸우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투자금융회사 제프리스의 에너지 주식 분석가 지아코모 로메오는 유럽 석유 회사들이 미국 증시에 상장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전망했다. 유럽 본사를 미국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정부 및 정치권 반대에 직면할 우려가 커서다. 일각에서는 유럽 에너지 대기업들이 친환경 정책에 대해 우회적으로 비판 메시지를 냈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세민 기자 unijade@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